|
|
 |
 |
IPO(Initial Public Offering, 기업공개) | |
정의 |
* IP란? 사적기업(private company)이 대중기업(public company)으로 변형시키는 행위 * IPO의 내용 사적기업이 최초로 공모 방식을 통해 그 지분(equity)을 일반투자자(investing public)에게 공개매각 → 공개주식은 통상 증권거래소/코스닥에 상장되어 거래 | |
Why IPO? |
* 직접금융시장으로의 진입을 통해 풍부한 성장자본(growth capital)을 획득 * 기업의 owners가 보유 지분의 일부 혹은 전부를 매각하여 현금화 * 소유경영자인 경우, 재산의 분산화 및 유동성(liquidity)의 확보 * IPO가 성장을 보장하진 않음 * Cargill : private co.로서 연간 $50bil 이상의 수익을 매년 올림 * Goldman Sachs : 1999년까지 private co.였지만 world's leading IB | |
IPO의 장점 (한국) |
* 풍부한 자본시장에의 접근 : 유동성 확보 * 대외 신인도 향상 : 회사 및 제품 인지도 향상(마케팅효과) * 기업경영의 투명화 | |
IPO의 단점 (한국) |
* M&A에 노출 * 기업경영에의 영향 : 지분희석, 배당 압력 * 높은 상장유지비용 | | | |
 |
Private Placements | |
* 정의 : selling of debt or equity to "private investors * Public offering과 절차 및 내용 매우 유사하나 "public" investors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 차이 * Why private placements? ① 여러 이유로 투자자들의 IPO 구미에 맞지 않아 going public이 어려운 경우 ① 예) 성장이 유망하지만 기업규모가 작은 경우 ② 당해 기업이 주식의 going public을 꺼려하는 경우 ① 예) solidly growing business가 현재 경영에만 전념하고자 하는 경우 ③ IPO 하기에는 규모 등이 작아서 IPO를 대비하여 규모를 키우고자 하는 경우(IB의 권유) * Public deal과 중요한 차이점 ① 감독기관에 사전 등록 및 roadshow 불필요 ② prospectus 대신에 PPM(Private Placement Memorandum)의 작성 * 용도 : 통상 소규모회사들이 going public으로 가는 전 단계에서 사용 | | | | |
|
|
|